코스피 지수는 1월 2일 2479에서 현재(10월 26일) 2027로 약 -18.2% 하락하였습니다. 그리고 코스닥 지수로 812에서 663으로 -18.3% 하락했습니다. 지난
미국에서 촉발된 무역분쟁과 금리인상으로 세계경제 시스템이 요동을 치고 있는 듯 합니다. 국내 주식시장이 지속적인 하락으로 시장은 불안한 모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금번 폭락 상황에서 제 포트폴리오도 지난 3주 동안 올해 수익을 많은 부분을 반납했습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향을 몇 가지 정리했습니다. 기본 생각은 변동성이 작은(지난 3주동안 상대적으로 변화가 없었던) 종목을 현금화하고, 변동성이 큰(변화가 많았던) 종목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즉, 시장에 공포가 진정이 되었을 때 더 많이 오를 것이라 예상되는 종목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입니다. 단, 금번 무역분쟁에 영향으로 사업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은 제외합니다.
1. 매도할 종목
- K사 ( 3.3% 의 배당이 예상되지만, 성장은 정체되어 상승은 제한적일 듯)
- L사 ( 1.8% 정도의 배당 예상과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대형 종목으로 상승은 제한될 듯)
2. 매수할 종목
- H사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성장 중. 현재 하락한 가격이라면 배당은 6% 이상이 될 듯. 다만 해외 영향은 다소 있을 듯. )
- S사 ( 해외 이슈에 거의 없이 안정적. 배당은 3.5% 예상. )
- S사 ( 신제품 소식과 중국 이슈가 없어지고, 상승에 대한 이슈가 존재. 배당 1.5% 예상)
- W사 ( 지난 해에 성장을 이어가는 중. 지난 해 배당 크게 증가. 배당은 증가한다면 4~5% 예상. )
- H사 ( 향후 크게 성장할 산업군. 3분기 견조한 성장세. 1.8% 배당 예상)
- L사 ( 올해 주가 상승. 금번 하락장에서 견조. 향후 4차 산업 혁명의 인프라. 배당은 2~3% 예상)
- D사 ( 30% 이상 하락. 미국시장 진출 이슈. 현재 가격보다 10% 아래 가격으로 예약 예정)
- B사 ( 해외 시장 확대. 다양한 신제품 시도. 5% 이하 가격으로 예약)
3. 시장 불안에 대한 안전 추구
매수한 종목은 5% 이상 상승시 매수량의 1/4 매도
10% 이상 상승시 매수양의 1/4 매도
나머지 수량으로 상승의 끝(가격 안정)을 보고 마무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예약 매수/매도를 마무리하고 다음 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투자 >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락시장 대응하기 - 6 (4주차) (0) | 2018.11.24 |
---|---|
폭락시장 대응하기 -5 (3주째 결과) (0) | 2018.11.17 |
폭락시장 대응하기 - 4 (2주간 결과) (0) | 2018.11.10 |
폭락시장 대응하기 - 3 (1주간 결과정리) (0) | 2018.11.03 |
폭락 시장 대응하기 - 2 (0) | 2018.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