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베타(Smart Beta)' 방식의 투자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스마트 베타' 방식은 '데이터 분석(Data Analytics)'를 통해 수익률이 높은 주식의 유형을 찾아서 해당 유형의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 유형 주에 한가지로 '저변동성 효과'가 있습니다.


'저변동성 효과'란 변동성이 낮은 주식이 수익률이 높은 현상입니다.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투자의 법칙인 'High Risk, High Return'에 반하는 결과여서 '이례현상(Anomaly)'로 얘기됩니다.

( 출처 : 글로벌 이코노믹 )


아래의 그래프는 'MV(Minimal Variability - 최소변동성)'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가 'BMI(BenchMark Index - 비교 지수)'에 비해서 높은 수익률을 보인다는 그래프 입니다. 


center

( 출처 : 글로벌 이코노믹 )



이제 7주차에 접어는 폭락시 낮은 변동성 종목에서 높은 변동성 종목으로 교체한 결과 비교는 '저변동성 현상'을 검증하는 시험이 되어가는 느낌입니다.


수익률 비교에서는 변동성이 낮은 종목을 유지했을 경우의 수익률이 다른 경우의 수익률과의 격차를 벌리고 있습니다. 


(유지 수익률 : 5.0%) > (매도수익 포함 변경 수익률 : 3.7%) > (변경 수익률 : 1.5%)


( 변동성 낮은 종목 유지했을 경우)


( 변동성 높은 종목 교체 수익 + 변동성 낮은 종목 매도 수익 )


( 변동성 낮은 종목의 교체 후 수익 )


지난 주의 수익률이 각각 4.1%, 3.9%로 0.2% 차이에서 이번주에는 5.0%와 3.7%로 1.3% 차이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매도차액을 뺀 경우도 1.7%에서 1.5%로 하락해서 유지했을 경우의 수익률과는 3.5%나 차이가 생겼습니다.


변동성이 낮은 기존 종목들이 높은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원래 기대했던 것과는 다른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행히 제가 갖고 있는 전체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10월 26일 대비 5.3% 상승으로 시장(KOSPI, KOSDAQ)의 수익률(KOSPI - 2.0%, KOSDAQ - 0.5%) 대비 우위에 있습니다.


이쯤에서 변동성이 낮은 종목으로 변경해야 하는 것일지 생각이 많아집니다.


지난 밤(12월 7일 - 금) 뉴욕 증시 낙폭이 제법 컸습니다. ( 다우 : -2.24%, 나스닥 : -3.05%)

시장을 떠도는 불안감이 계속될 것 같습니다. 현재 예약 매수 가격을 조금 더 낮게 조정할 생각입니다.


지난 주 코스피는 2075(10월 26일 대비 2.3%), 코스닥은 685(10월 26일 대비 3.2%)로 다소 하락했습니다. 제 종목구성도 10월 26일 대비 6.1% 수익으로 -1.5% 조정을 보였습니다.



종목을 변경한 결과를 유지했을 때와 비교는 유지했을 경우가 다시 수위로 올라섰습니다.


(유지수익률 : 4.1%) > (매도수익 포함 변경수익률 : 3.9%) > (매도 수익 제외 변경수익률 : 1.7%)


시장이 불안해지면, 변동성이 낮은 종목 구성이 상대적으로 나아지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입니다


변경하지 않았을 때의 수익률은 L사(지난 주 6.6%)와 K-2사(지난 주 10.4%) 수익률이 상승하면서 전체 4.1%의 수익을 보였습니다.


변경한 종목에서는 S사(지난 주 -0.3%)가 2.3% 수익구간으로 접어들었습니다. 반면 H-2사는 2.2% 수익 구간에서 -0.2% 손실로 변했습니다. 그리고, 기대가 많은 L-2사도 아직 -5.3% 손실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1.7% 수익으로 지난 주 1.8%에서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매도수익을 포함한 경우는 3.9% 수익으로 유지했을 경우에 비해 약간 낮은 수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 주는 뉴욕증시의 불안으로 약세장으로 시작할 듯 합니다. 9% 정도의 현금비중을 활용하여 관심을 두고 있는 종목을 좋은 가격에 매수할 기회를 가지려 합니다.


3주 정도 남은 2018년을 잘 마무리해서 희망찬 2019의 밑바탕을 준비하고자 합니다~~~

11월 마지막 주 시장은 다소 반등이 있었습니다. 

'밀물에서는 모든 배가 떠오른다'는 말과 같이 제 포트폴리오에도 반등이 있었습니다.


특히나, 포트폴리오에서 높은 비중의 종목이 반등이 있어서, 시장 지수 대비 성적이 좋았습니다. 위의 표에서와 같이 10월 26일 대비 7.6%로 시장상승(KOSPI : 3.3%, KOSDAQ : 4.6%) 대비 거의 2배에 가까운 성적이었습니다.... ^^;;


변동성이 높은 종목으로 교체한 결과는 아래와 같이 지난주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매도 수익 포함 변경 수익률 : 4.8% ) > (유지 수익률 : 3.9% ) > ( 매도 수익 불포함 변경 수익률 : 1.8%)


먼저 그냥 유지했었을 경우의 수익은 아래와 같이 계산되었습니다.




L사가 지난주 1.4%에서 6.6%로 반등을 하면서 유지를 가정했을 경우의 수익률을 끌어올렸습니다. 그리고 K사의 수익률도 2.7%에서 3.7%로 상승했습니다.


매도수익을 제외한 변경한 경우의 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L사가 지난 주 1.3%에서 이번주에는 10.2%로 반등을 하면서 수익률에 기여가 많았습니다. 그리고, 지난주에 -7.4%였던 L-2 도 -3.2% 정도까지 반등을 했습니다. 이 두 종목에 의한 기여로 0.6%에서 1.8%로 1.2% 상승이 있었습니다.


종목 교체시 매도수익을 같이 포함한 수익률은 지난 주에 이어서, 이번 주에서 제일 앞섰습니다. 그냥 유지했을 경우와의 차이는 0.9% ( 4.8% - 3.9%)로 지난 주 0.8%( 3.1% - 2.3%)와 비슷하게 유지되었습니다.



현재 교체한 종목에서 수익이 나지 않고 있는 종목은 S사(-0.3%)와 L-2사(-3.2%)입니다. 지난 주에 비해서 두 종목 모두 나아지기는 했지만, 아직 기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종목 모두 안정적이고, 배당이 낮지 않은 종목이어서 연말을 기대해 봅니다.







어제(11월 23일) 국내 시장은 지난주 다소 하락하여, 10월 26일에 대비 코스피 1.5%(2027 -> 2057), 코스닥 2.9%(663 -> 683)으로 마감했습니다. 제 포트폴리오도 지난 주 4.8%에서 어제는 4.1%로 다소 하락했으나, 지수 대비 하락폭은 작았습니다. 지수 대비 수익률이 나쁘지 않습니다... ^^;



포트폴리오 내의 배당수익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기방어주가 하락에 대한 저항을 가져온 것 같습니다. 


먼저 26일에 보유하고 있던 변동성이 낮은 주식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했을 때, 수익률입니다. 2.3%로 지난주(3.7%) 대비 많이 하락했습니다. 이는 위의 코스피(KOSPI)가 상승률이 많이 꺽인 것과 연관될 것 같습니다. 변동성이 적은 주식들은 주로 코스피에 포함되어 있어서, 이 둘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 같습니다. 특히나 L사는 6.3%에서 이번 주 1.4%로 많은 조정이 있었습니다.




변동성이 높았던 종목으로 변경한 현재 상태도 지난주 0.8%에 비해, 0.6%로 조정이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폭은 작았습니다.  특히나, 지난주 -2.1% 수익률이었던 L사가 1.3%로 올라서 준 것이 많은 기여를 했습니다.


L사의 경우는 새로운 영역 진출에 의한 성장성과, 경기 영향을 덜 받는 안정적인 수익성을 갖고 있어서 당분간 추가매수와 보유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S사는 안정적이기는 하나 새로운 성장 스토리가 보이기 까지는 다소 기다려볼 생각입니다. L-2사는 감시매수에 의해 매수된 종목으로 검증된 기술력으로 장기적 성장을 하리라는 기대로 단기간 급락의 두려움을 누르고 있습니다.


변동성 적은 주식을 처분할 때의 매도수익을 포함한 변경 포트폴리오의 수익은 3.1%로 지난 주 드디어~~ 가장 앞서게 되었습니다. 1달 동안의 투자 방법 조율의 결과가 보이는 느낌이 들어 나쁘지 않습니다.



L-2 사가 시장의 두려움에서 벗어나, 가치를 인정받는 시간이 있었으면 하고 희망해 봅니다~~ ^^;

폭락장이었던 10월 26일 (코스피 : 2027, 코스닥 : 663) 대비, 어제(11월 16일) 코스피는 2092로 3.1% 상승, 코스닥은 690으로 3.9%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제 포트폴리오는 10월 26일 대비 4.8% 상승으로 드디어 지수를 따라잡았습니다.~~~ ^^;;



그런데, 폭락시에 변동성이 많은 주식으로 변경한 부분은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합니다. 


먼저 변동성이 적을 것이라 생각하고 매도한 L사가 이전 1% 수익에서 이번주 6.3% 수익 구간으로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K-2사는 이전 주에 4.9% 수익 상태에서 이번 주에는 12.6% 까지 수익 구간으로 올라섰습니다. 10월 폭락에서 변동성이 작았던(상대적으로 덜 하락했던) 종목들이 상승세가 강했던 주였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냥 보유하고 있었더라면 3.7% 수익 구간이 되었을 겁니다. 위의 주가지수와 거의 비슷한 정도의 흐름입니다.


 

그에 비해 10월 폭락에서 변동성이 강했던(많이 하락했던) 종목들은 많이 상승한 종목도 있지만, 매수 가격대비 많이 하락한 종목(L사 : - 3.4%, L-2 사 : -6.7%) 종목이 생겨서 10월 26일 대비 0.8% 수익으로 좋지 않습니다. 특히나, L사와 L-2사는 내심 기대가 컸던 종목이라 비중도 상대적으로 커서 수익에 영향이 컸던 것 같습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변동성이 적은 종목을 처분하면서 다소 상승한 가격에 예약매도를 했기 때문에, 10월 26일 대비 매도 차익이 있습니다. 이 수익을 포함해주면 3.2% 수익으로 다소나마 보충이 됩니다.... ^^;;

이 부분은 제가 세운 초기 가설 - 변동성이 큰 주식이 오를 때 더 빨리 오를 것이다 - 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입니다..





현재까지 3주간의 결과를 보자면, 폭락시에 변동이 큰 종목으로 변경한 결과는 변경하지 않고 보유하는 것에 비해 수익이 떨어집니다


1달이 되는 다음주에 기대하고 있는 L사와 L-2사의 빠른 회복을 바래 봅니다.

지난 주말에 이어서 변동성 높은 주식으로의 포트폴리오 조정 결과를 정리합니다.


지난 11월 5일 ~ 11월 9일 까지 시장은 다소 하락하여 코스피는 2,086으로, 코스닥은 687로 마감하였습니다. 그렇지만, 포트폴리오 변경을 시작한 11월 26일 대비 각각 2.9%, 3.6% 상승한 수치입니다.


제 포트폴리오의 변화는 지난 주 2.8% 에서, 이번 주에는 3.3%로 시장 변화를 다소 따라 잡았습니다.


그러나, 포트폴리오 조정분에 대한 결과는 (변경하지 않았을 경우)와 (변경한 현재의 경우)의 수익률은 지난주 각각 4.7%, 5.8% 에서 1.0%와 2.8%로 많이 낮아졌습니다. 변동성이 높거나, 낮은 종목이 아닌 중간 변동성을 보이는 종목이 상대적으로 성적이 좋았던 주 같습니다.



그런데, 매도 수익도 변경한 경우의 수익으로 포함해야 하지 않을까요? 매도시 수익(손실)을 포함시키면 수익은 3.6%가 됩니다



D사는 예약매수한 물량을 15% 정도에 예약매도를 걸어둔 부분이 체결되어 현금화되었습니다. 해당종목은 미국 진출 이슈가 있어서 몇번의 등락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박스 하단에 매수를 다시 걸어둘 계획입니다.


L-2사는 충분히 낮은 가격에 감시 매수를 걸어두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갑자기 하락하여 체결되었습니다. 나중에 뉴스를 확인하니 국민연금 주관사가 변동되면서 대량의 매도가 있었다고 하네요. 제 생각에는 전망이 좋은 종목을 충분히 낮은 가격에 매수한 것 같습니다. 다음 주에는 현재가보다 약간 낮은 가격에 예약매수를 걸어둘 계획입니다.


W사는 지난 주에 매수된 물량 중에서 15%와 20% 근처에 1/3 씩 예약 매도를 두었는데, 급등하면서 체결이 되었습니다. 이 종목에서 2주간 21.6% 수익이 있었습니다. 추가 상승이 기대되어서, 남은 1/3은  변화를 지켜보면서 대응할 계획입니다.  혹시 모를 급락에 대해서는 지난 번 매수 금액 근처에 예약 매수를 할 예정입니다.


H사는 해외 이슈에 민감한 부분이 있어서 매도 범위를 다소 작게 잡았었습니다. 1/3 정도씩을 5%와 10% 근처에 걸어두었습니다. 그 물량이 체결되면서 남은 물량의 수익을 포함해서 현재 약 10%의 수익을 보이고 있습니다. 


L사는 기대를 많이 하는 종목인데, 아직 평균 매수가보다 아래에 있습니다. 낮은 가격에 예약 매수를 준비합니다.


S사는 해외 이슈에 휘둘리지 않는 종목으로 지난 급락에서 좋은 가격에 매수할 수 있었습니다. 충분히 높은 가격(20%+)에 일부를 예약 매도를 걸어두었습니다.


고배당으로 유명한 M사는 지난주 0.6%에서 2.1%로 상승했습니다. 연말까지 배당율보다 2~3배 정도라면 매도해도 되지 않을까 생각 중입니다.


'주식투자 최적의 타이밍을 잡는 작은책'의 저자 제프리 허시는 10월은 약세장의 저점을 가장 많이 기록한 달로 대부분의 경우, 11월에 반전을 보여서 4월까지 상승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제프리의 관찰 결과가 적용되는 2018년이 되었으면 합니다... ^^;


 


지난 주 올린 글- 폭락시장 대응하기 -에서 폭락한 상황에서 변동성이 작았던 주식을 일부 매도하고, 변동성이 큰 주식을 매수하는 시도에 대해 얘기드렸습니다. 일주일(5영업일)이라는 시간은 투자평가를 하기에 충분하지는 않다고 생각되지만, 중간 확인은 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먼저 시장 지수 변화는 코스피는 2027에서 2096으로 69 포인트(3.4%)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코스닥은 663에서 690으로 27 포인트(4.1%) 상승을 보였습니다. 제 종목 구성은 시장평균보다 변동성이 작은 것인지...(^^;) 상승폭은 2.8% 였습니다.


이중에서 지난 주에 계획에 따른 부분의 변동만 별도로 비교해보았습니다. 비교는 아래의 3가지 값으로 했습니다. 


 1. (10월 28일, 일요일 초기 금액) = (28일 현금) + (매도된 종목의 28일 시세)


 2. (변경을 하지 않았을 경우, 11월 3일 현재 금액) = (지난주 금요일 현금) + (매도된 종목의 현재 시세)


 3. (변경한 결과, 11월 3일 현재 금액) = (11월 3일 현재 현금) + (매수 후 보유 종목의 현재 시세)


위에서 (2번 - 1번)이 종목을 변경하지 않았을 경우의 수익, (3번 - 1번)이 변동성이 높은 종목으로 재구성하였을 경우의 수익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락이 많았던 변동성이 높은 쪽이 상승시에는 더 크게 상승할 것이라는 것이 제 예측이었습니다. 


결과부터 말씀드리자면, 변경하지 않았을 경우의 수익률은 4.7% 수익 이었고, 변경한 결과는 5.8% 수익을 보였습니다. 일단 변동성이 작았던 종목이 지난 주에 미래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예상외로 상승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매수 종목 중에 한 종목이 상승의 흐름을 타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종목이 매도종목보다 수익이 낮았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는 예측에 부합했습니다...




중요한 이유는 매도 종목을 상승한 값에 매도할 수가 있었던 행운이 있었서 그랬던 것 같습니다.

다시 생각하지만, 1주일에 평가를 내리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약간의 시간을 두고 관찰해야 할 것 같습니다.


참고로 M사는 배당 약 6%의 안정적 수익을 내는 종목이라 불안한 시장 상황을 반영해서 매수하였습니다.


( 다음 주말에 다시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






어제도 폭락 장세가 이어져 코스피는 -1.53%, 코스닥은 -5.03% 하락했습니다. 제 포트폴리오도 -1.79% 손실이 있었습니다.


다행인 것은 장 초반에 상승세가 있어서 매도로 잡았던 부분이 일부 체결되었습니다. 그리고 오후에 (제 생각에는) 상당히 낮은 가격이라고 생각하고 매수 예약을 했던 부분도 체결이 되었습니다.... ^^;;  ( T T;; )

어찌되었든 계획이 하룻만에 많은 부분 실현이 되었습니다. 간단히 정리를 하자면,


1. 매도할 종목 

   - K사 ( 3.3% 의 배당이 예상되지만, 성장은 정체되어 상승은 제한적일 듯)

       ==>  체결되지 않음

   - L사 ( 1.8% 정도의 배당 예상과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으나, 대형 종목으로 상승은 제한될 듯)

      ==> 매도 물량 50% 체결


2. 매수할 종목

  - H사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성장 중. 현재 하락한 가격이라면 배당은 6% 이상이 될 듯. 다만 해외 영향은 다소 있을 듯. ) 

         ==> 체결

  - S사 ( 해외 이슈에 거의 없이 안정적. 배당은 3.5% 예상. )

       ==>  체결되지 않음

  - S사 ( 신제품 소식이 있고, 중국 이슈가 없어지고, 상승에 대한 이슈가 존재. 배당 1.5% 예상)

       ==>  체결

  - W사 ( 지난 해에 성장을 이어가는 중. 지난 해 배당 크게 증가. 배당은 증가한다면 4~5% 예상. )

         ==> 체결

  - H사 ( 향후 크게 성장할 산업군. 3분기 견조한 성장세. 1.8% 배당 예상)

        ==> 체결.

  - L사 ( 올해 주가 상승. 금번 하락장에서 견조. 향후 4차 산업 혁명의 인프라. 배당은 2~3% 예상)

         ==> 체결

  - D사 ( 30% 이상 하락. 미국시장 진출 이슈. 현재 가격보다 10% 아래 가격으로 예약 예정)

          ==> 체결되지 않음

  - B사 ( 해외 시장 확대. 다양한 신제품 시도. 5% 이하 가격으로 예약)

         ==> 체결


오늘은 체결된 종목의 일부를 +5%  정도에 예약 매도를,  남은 현금으로 -5%에 예약 매수를 걸어두었습니다.


어제 뉴욕증시가 하락해서 오늘도 상황이 쉽지는 않아보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주식의 가치(예금금리 대비 수익률)로는 저가로 보여서 이를 기준으로 충분히 싼 가격에 매수가 될 수 있도록 대응할 예정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