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탄 가능성을 높이는 부채

전환사채(CB - Convertible Bond)

신주인수권부 사채(BW - Bond with Warrant)


2009년 이후 10년 동안 상장 폐지된 법인 중 65%가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주식연계채권을 발행했습니다

( 출처 : msn 금융 )


BW와 CB는 주식과 연계된 채권입니다.

돈을 빌려주면서 나중에 주식으로 전환(전환사채 - CB)할 권리를 주거나, 특정 금액에 주식을 매수할 권리(신주인수권부사채 - BW)를 추가로 받는 것입니다. 이런 추가적인 권리를 받기 때문에 돈을 빌려주는 입장에서는 좋은 조건입니다.



( 출처 : dongA.com )


반대로 회사 입장에서는 불리한 조건으로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주주에게는 폭탄이 되어 돌아올 가능성이 높은 조건입니다.


특히, 주식 전환(매수) 가격은 '무상증자', '주가하락' 등에 따라서 수시로(?) 조정될 수 있기 때문에 회사(주주)의 부담이 (조정 범위는 30%로 제한되어 있지만) 계속적으로 커질 수 있습니다. 


지난 포스팅 '투자하기 좋은 종목을 찾아서'의 종목 선정 절차에서도 CB와 BW 발행 기업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일 것을 조언하고 있습니다.



주식연계채권은 2013년 ~ 2014년 '디지탈옵틱' 투자에서 경험이 있습니다.

당시 삼성 스마트폰의 성장은 부품업체 들의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 출처 : EconomyInsight )


2013년은 스마트폰 렌즈를 생산하던 디지탈옵틱도 큰 성장을 보여준 해였습니다.


95억 공장부지 인수 결정과 자금 마련을 위한 200억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결정도 이시기에 있었습니다.


그런데, 전방산업인 삼성전자 스마트폰 출하량은 2013년을 정점으로 하락합니다.

( 출처 : Happist.com )


전방산업의 정체는 디지탈옵틱 사업에 타격을 주고, 주가는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서, 신주인수권 행사 가격도 하락했습니다.


2014년 초 투자기록에서 2번의 행사가격 조정으로 주가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볼 수 있습니다.



2014년 7월에 다시 한번 조정으로 행사가격은 초기가격에서 30% 할인된 14,020원까지 하락했습니다. 그리고, 행사가격 하락은 행사 가능 주식수를 40여만주나 늘려놨습니다. 즉, 낮아진 가격에 더 많은 주식을 살 권리를 얻은 것입니다.



그리고, 사채권자의 요청에 따른 채무상환을 위해 새롭게 전환사채(CB)를 발행합니다.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한편, 전방산업의 정체로 사업은 계속적인 적자 행진을 합다.



올해(2019년)초 관리종목 지정 우려와 함께 파산신청을 하게 됩니다.

( 출처 : 데일리안 )

 

이런 와중에 한가지 이상한 부분은 사업적으로 계속적인 어려움을 겪던 2014년 이후의 주가 상황입니다.

재무제표 상으로 2014년 이후 계속적으로 적자를 내고 있던 상황인 2015년 ~ 2016년에 있었던 주가상승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전방산업에 대한 (지나고 나면 깨닫는) 과한 기대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 봅니다.


수익에 대한 욕심이 손실 위험에 대한 경고를

많은 사람들이 무시하게 만들었을 것이차 추측해 봅니다.


버핏의 조언을 생각하게 됩니다.

We simply attempt to be fearful when others are greedy and to be greedy only when others are fearful. - Warren Buffett

( 출처 : AZQUOTES )


"남들이 욕심을 부릴 때 두려워하고, 남들이 두려워할 때 욕심을 부려라"



"회전율을 높여라"


사업가 백종원씨가 골목식당 생존법(?)으로 제시합니다.


( 이미지 출처 : SBS 골목식당 )


그리고, 회전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조언합니다.


"조리 시간 단축"

( 이미지 출처 : SBS 골목식당 )


"메뉴 단일화(단순화)"

( 이미지 출처 : SBS 골목식당 )



회전율을 높이는 것은 (식당) 경영에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1. 회전율이 높아지면 재료를 매입에 가격협상력이 생깁니다.

    대량으로 구매를 하면 가격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여지가 생깁니다.


2. 제품 당 고정비를 낮출 수 있습니다.

    임대료, 장비 구입비 등 판매량에 무관하게 사용되는 비용 부담이 줄어들게 됩니다.

    다른 면에서 보자면, 고정자산(건물, 부동산 등)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재고(남아있는 제품) 자산의 시간적 가치하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식재료는    시간이 지나면 신선도가 떨어집니다.

    의류는       시간이 지나면 유행이 지나갑니다.

    가전제품은 매년 신제품이 나옵니다

    남아있는 제품(재고)는 자체로 가치하락이 있을뿐 아니라, 보관을 하기 위한 비용도 소모됩니다.



의류 산업은 재고에 특히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옷은 1/3은 제 값 받고 팔고, 1/3은 할인해서 팔고, 1/3은 무게 달아서 판다"


( 출처 : 중앙일보 )


( 출처 : 한국경제 )



자라, 유니클로 등 패스트패션 기업 들은 높은 재고자산 회전율을 경쟁력으로 갖고 있습니다.


( 출처 : 패션비즈 )



재고 회전률 향상으로 높아진 기업의 경쟁력은 시간이 지나면 주가에 반영됩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 출처 : 헤럴드 경제 )



재고 회전율 향상은 비용절감, 제품 신선도(질) 유지, 고객확보(단골)를 가능하게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한 "경제적 해자"를 확보의 좋은 방법입니다.



노량진 수산시장에는 높은 회전율로 '경제적 해자'를 구축한 가게들을 있습니다.


( 이미지 : 노량진 수산시장 H 상회 )


'고인 물은 썩는다' 는 말은 조직이나 사람이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와지지 않으면 퇴보하게 된다는 주의를 줍니다. 비슷하게 '고인(쌓인) 물건은 썩는다'라는 얘기를 드리고 싶습니다.


재무상태표에서의 '고인 물건'은 '재고자산'으로 표시됩니다. 재고자산이란 원재료, 재공품(가공 중인 재료), 완성품 등 판매를 위해 준비 중인 자산을 얘기합니다. 재고자산은 미래에 판매가 되어 현금으로 되었을 때에 실제적인 가치를 가집니다. 재무상태표 상에는 유동자산(1년내에 현금화 되는 자산)으로 분류가 됩니다. 


그런데, 재고자산은 반드시 1년 안에 현금화 될까요?

재고자산이 모두 무사히 잘 팔린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보관이나 운반 중에 손상되기도 하고, 잃어버리기도 합니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는 싼 값에 처분해야할 수도 있습니다. 즉, 재고자산은 기업의 입장에서 위험을 내포한 자산입니다. 


재고자산은 (판매기회를 잃지 않는 한)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셀트리온헬스케어의 분식 의혹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헬스케어의 2018년 3분기(1월 ~ 9월) 공시된 재무제표를 살펴보았습니다. 


재무안정성(건전성)을 보여주는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는 2.897/1.162 =249% 로 일반적으로 안정적이라 얘기하는 150%를 훌쩍 넘고 있습니다. 그런데 앞서 재고자산은 다양한 이유로 현금이 되기까지는 위험성이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빼고 유동 비율을 다시 계산해 봤습니다.


재고자산을 뺀 유동비율 =  (2897 - 1751)/1161 = 98.6%


유동비율이 100%이하로 내려가게 됩니다. 그런데 1조 7500억 상당의 재고는 문제가 없는 것일까요?

이렇게 쌓여있는 재고는 얼마동안 팔아햘 양일까요?

2018년 3분기 매출액을 확인했습니다. 3개월(6월 ~ 9월) 매출이 2127억, 한달에 약 709억 입니다.

현재 쌓여있는 1조 7510억에 달하는 재고를 한달에 709억씩 팔면 24.7개월 동안 팔아야 합니다. 단순하게 얘기하자면, 지금 갖고있는 재고를 다 팔려면 2년이 걸린다는 것입니다. 꺼꾸로 보자면 시장에서 팔리고 있는 제품은 2년전 생산된 물건입니다.


다른 제약사의 상황은 어떨까요?


녹십자의 2018년 3분기 재고자산은 4,039억 입니다. 3분기 매출액은 3,523억 입니다. 재고자산의 양이 약 3개월분 매출에 해당됩니다. 보령제약의 경우는 재고자산 831억, 3분기 매출액 1,216억으로 약 2개월분의 재고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3개월 분의 재고자산을 유지합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재고자산의 상황을 파악하는 지표입니다.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액)/(재고자산) 

보수적으로는 (매출액) 대신 (매출원가)를 사용합니다. 이를 기업의 '활동성'이라 표현하기도 합니다. 운동을 많이 한 사람이 활동적인 것에 빗대어 이르는 말입니다. 재고자산을 몸에 쌓인 지방과 같음을 암시합니다. 앞의 예에서 보자면 3개월치 재고를 유지하는 경우라면 재고자산은 1년 4번 정도 회전을 보입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4 입니다. 그런데,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경우는 2년치 재고자산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1년에 0.5회 회전율 보이고 있습니다. 움직임이 많이 느린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런데, 더 걱정스러운 부분은 현금흐름입니다. 아래는 올해(2018년) 3분기 현금흐름표입니다.


영업현금흐름 -, 투자현금흐름 +, 재무현금흐름 + 입니다. 지난 포스팅 - 현금흐름에 의한 기업상황 파악 -에서 5)번에 해당하는 경우입니다. '영업에서 돈을 벌지 못하고 있고, 갖고 있던 재산을 팔고, 돈을 꾸는 상황' 입니다. 


한국의 미래 먹거리 '바이오시밀러' 산업을 이끌고 있는 '셀트리온헬스케어'가 재고의 부담을 떨쳐내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갖기를 기원해봅니다.

지난 포스팅 <손익계산서와 재무상태표의 연결고리>에서 아래와 같은 그림을 보았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회계에 관련되는 5가지 요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각 항목의 의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자산 : 회사가 현재 갖고 있는 재산. 현금, 매출채권(외상매출금), 토지, 건물, 자동차

2. 부채 : 빌린 돈. 대출금, 매입채무(외상 빚) 등

3. 자본 : 가진 돈. 주주가 낸 돈 + 벌어들인 돈

4. 비용 : 사용한 돈.      매출원가, 판매관리비, 이자 비용

5. 수익 : 벌어들인 돈.   매출금, 이자 수익


회계는 기업 활동에 따라서 위의 5가지 요소를 재무상태표의 왼쪽(차변)과 오른쪽(대변)에 한쌍으로 추가하는 것입니다. 한쌍의 회계요소가 추가될 때에 자신의 위치(자산은 왼쪽, 부채/자본은 오른쪽)에 추가되면 +, 반때쪽에 추가되면 -를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꾼 돈을 현금으로 100원을 갚는 활동은 아래와 같은 조합이 추가됩니다.


부채(100원 ) : 자산(현금 100원 ) 

다른 쪽에 추가되므로 부채 -100원, 자산(현금) -100원


5가지가 왼쪽과 오른쪽에 쌍을 짓는 방법은 5x5 = 25(가지)가 있습니다. 그런데, 쌍을 이룰 수 없는 조합이 있어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조합은 아래 그림의 실선으로 표시된 4가지로 제한됩니다.  그리고, 점선은 빈도가 다소 낮은 조합을 표시합니다. 쌍을 만드는 데에는 아래와 같은 제약이 있습니다.


- 비용은 항상 왼쪽, 수익은 항상 오른쪽

- 수익과 비용의 조합은 생기지 않음

- 자본과 관련된 조합은 거의 발생하지 않음 (1년에 한번 정도. 이익잉여금 혹은 자본잉여금 추가 등)


위의 조합 중에서 투자자 입장에서 관심이 가는 거례는 회사의 성장과 관련되는 거래는 '수익'과 '비용'이 포함되는 거래입니다. 대표적인 거래 유형은 물건을 팔아서 이익이 생기는 거래입니다. 이에 대한 회계처리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감귤장사를 시작한 갑돌이가 100원에 산 감귤을 200원에 팔았다면 아래와 같은 거래가 발생한 것입니다.


자산 ( 현금 200원 : + ) : 자산(재고자산 - 감귤 100원 : - ) + 수익 ( 100원 : + )

결과적으로 자산이 100원 증가하고, 수익(향후 자본으로 편입 가능성)이 100원이 증가됩니다.


이와 같은 거래 하나하나가 쌓여 회사의 수익이 되고, 수익이 쌓여서 회사는 성장을 합니다.


기업의 재무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기업의 재무제표는 서로 연관관계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는 퍼즐 조각처럼 정확하게 연결이 됩니다.


예를 들어 갑돌이가 감귤 장사를 시작한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장사 밑천으로 갑돌이가 가진 돈은 500원이고, 갑순이한테 500원을 빌렸습니다. 감귤을 1개에 100원씩 6개를 준비했고, 감귤을 넣어두는 상자를 100원을 주고 사면 대차대조표는 아래 왼쪽 그림과 같습니다.


갑돌이가 장사를 잘 해서 감귤 1개를 200원에 팔면, 현금이 200원이 늘고(자산 증가) 감귤 1개(원가 100원)가 줄어듭니다(재고자산 감소). 판매금액과 감귤 원가의 차이인 100원만큼 이익을 얻게 됩니다. 그 결과로 위의 오른쪽 대차대조표와 같이 이익잉여금이 100원 생기게 됩니다(자본 증가).


이와 같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재무상태표의 왼쪽과 오른쪽에 변화가 생깁니다. 


재무상태에 변화를 주는 거래들의 결과를 정해진 기간동안 결산한 내용손익계산서입니다. 즉, 회계기간 동안 재무상태표는 손익계산서에 기록된 만큼 변하게 됩니다. 회계기간이 지난 후에는 아래와 같이 재무상태가 변하게 됩니다.


돈을 잘 버는(수익이 높은) 회사는 매번 증가되는 자산(자본)이 큽니다. 이에 따라서, 재무상태표는 키(자산 금액)가 무럭무럭 크게됩니다. 이렇게 키가 잘 크는 기업을 '성장하는 기업'이라고 합니다.


성장에 비해 가격이 낮게 형성된 기업은 좋은 투자 대상입니다.

'사업'이란 무엇인가? 

회계공부를 시작하면서 받은 질문입니다.


사업을 단순하게 정의하자면,

'돈(자금)을 모아서 (설비 등에) 투자해서 돈(수익)을 버는 것' 입니다.

이중에서 '돈을 어떻게 얼마나 모으고, 어디에 투자'했는지는 재무상태표(대차대조표)에 적습니다.

그리고, '어떻게 얼마나 벌었는지'는 손익계산서에 적습니다.


손익계산서의 구조는 지난 글에서 설명드렸습니다.


이번에는 재무상태표를 살펴보겠습니다. 

재무상태표는 오른쪽(대변)에 돈을 어떻게 모았는지, 꿔온 돈과 자기 돈이 얼마인지를 적습니다.

왼쪽(차변)에는 모은 돈을 어떤 형식(현금, 부동산, 설비 등)으로 갖고 있는지를 적습니다. 




전자공시에는 대변과 차변이 순차적으로 표시됩니다.

아래에 '스틸플라워'라는 회사의 2010 ~ 2013년까지의 재무상태표입니다.



재무상태표에서 자산과 부채에는 유동자산/유동부채와 비유동자산/비유동부채로 나뉘어집니다. 먼저 자산의 경우는 1년이라는 회계기간에 현금화 가능한지를 기준 가능하면 유동자산, 그렇지 않으면 비유동자산으로 분류 합니다. 그리고 부채의 경우는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빚이면 유동부채, 그렇지 않으면 비유동 부채입니다.


재무상태표에서 먼저 확인해야 할 내용은 재무적 안정성입니다.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비율( 유동자산/유동비율)은 1년 내에 갚아야할 빚을 갚을 능력이 있는가를 보여줍니다. 유동비율이 100%를 넘지 못하면 1년 내에 돈을 갚지 못할 위기(부도 위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50% 이상을 안정적이라 얘기합니다.  스틸플라워의 경우, 2013년 기준으로 유동자산이 1752억, 유동부채가 1592억으로 110% 정도입니다. 다소 미흡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동자산 중에 재고자산은 물건을 팔아야 현금이 될 수 있습니다. 즉, 팔리기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와 같이 즉시 현금화하기 어려운 자산을 제외하고 빚을 갚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를 '당좌비율'이라고 합니다. 2013년 스틸플라워의 경우 89%로 다소 부족합니다.


부채비율은 빌린 돈과 자기 돈의 비율( 부채/자본 )입니다. 부채와 자본이 동일한 정도, 즉 100% 정도면 무난합니다. 50% 이하 (자기돈이 빌린 돈의 2배)이면 우수하다고 봅니다. 2103년 스틸플라워는 199%로 빌린돈이 2배 많습니다. 안정적이라고 보기는 어려운 상태였습니다.


재무상태표의 재고자산, 매출채권과 손익계산서의 매출액을 비교하면 기업의 효율성과 협상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스틸플라워의 재고자산은 289억, 1년 매출액은 1623억(1달 135억)이었습니다. 약 2달 판매량 정도를 재고로 갖고 있습니다. 2012년 재고자산은 257억, 매출액은 2948억(1달 246억)으로 1달 판매량의 재고를 유지했던 것에 비하면 재고를 많이 쌓아두고 있습니다. 효율성이 많이 하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이 많이 줄어든 것이 원인인 것 같습니다.


매출채권(외상값)을 보면 2013년 465억으로 당시 매출 대비 3.4개월 분이었습니다. 2012년에는 607억으로 1달 매출 246억 대비 2.5 개월 이었습니다. 2013년에는 빚을 받는 기간도 길어졌습니다. 빚을 받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고객의 상황에 따라 빚을 받는 기간이 많이 늘어나는 것 같습니다. 즉, 고객과의 협상력이 강한 것 같지 않습니다.


실제로 2015년 2월에 매출액 변동에 대한 공시를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객사와 협상을 해서 가격을 내리고 수익이 많이 떨어진 것입니다. 고객에 대한 협상력이 많이 약한 것 같습니다.


스틸플라워의 전방산업인 해양플랜트는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등에서 진행하는 사업으로 최근 어려움이 많습니다. ( 참고 : 45개월째 수주 제로 ) 이와 연관되어 스틸플라워는 계속적인 어려움을 겪다가 올해 4월 23일 상장 폐지되었습니다.


기업의 미래를 살펴보는 도구로 재무재표를 살펴보실 적에는 해당 기업이 영유하는 사업 뿐아니라, 전방산업에 대해서도 살펴보셔야 합니다. 그리고, 전방산업에 대한 협상력도 살펴보시는 게 좋습니다. 외상 기간(매출 채권이 몇달치 매출인지)과 가격 결정력(제품 가격을 내리고 있는지 올리고 있는지)을 보시면 해당 기업의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은 유지할 수 없습니다. 이익은 기업 운영의 기본이라 하겠습니다. 기업의 이익을 살펴볼 수 있는 재무제표는 손익계산서(Income Statement 혹은 Profit & Loss Statement)입니다. 그 구조는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손익계산서는 4가지 이익- 매출이익, 영업이익, 세전 당기 순이익, 당기 순이익 -을 보여줍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 각 이익을 살펴보겠니다. 


- 매출이익

 기업이 판매하는 제품과 제품에 소모된 원가의 차이입니다. 즉, 제품 자체의 수익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보여줍니다.


- 영업이익

 매출이익에서 판매/홍보를 위한 비용을 뺀 이익입니다. 즉, 기업이 본업에서 벌어들인 이익입니다. 이 부분의 성장 가능성에 따라 회사의 미래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영업이익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기도 합니다.



- 경상이익

 2007년에 도입된 국제회계기준(IFRS - 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에서 없어진 부분입니다. 기업의 본업외에 (일상적으로) 부업으로 벌어들인 이익을 포함한다는 의미에서 투자자에게 중요할 수 있습니다. 즉, 예금한 돈의 이자나 투자한 회사의 배당이 일상적으로 들어와서, 이정도는 항상 벌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입니다.


- 세전 당기 순이익

  해당 기간동안에 기업에 발생한 모든 일들에 대한 결과입니다. 일반적으로 순이익에 비해 크지만, 세금을 돌려받거나, 면제를 받는 경우에는 작아지기도 합니다.


- 당기 순이익 

  기업에 남는 돈으로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중요합니다. 해당 기간동안에 돈을 벌었는지, 손해를 봤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보령제약의 2017년 손익계산서를 가져왔습니다. 각 항목과 그 변화의 의미를 보겠습니다.


1. 매출액

4,013억, 4,091억에서 4,227억으로 매출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품 판매는 순조로운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에 증가폭이 더 큰 것은 고무적입니다.


2. 매출총이익

2017년 매출액이 늘어난 것에 비해 매출총이익은 1,776억에서 1,678억으로 감소하였습니다. 제품을 만드는 데에 사용되는 원재료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입니다. 


3. 영업이익

2016년 220억에서, 2017년 10억으로 대폭 감소하였습니다. 매출이익 감소분 90억을 제외하더라도 120억이 줄어들었습니다. 

사용처를 보니, 제품 개발을 위한 비용을 30억 늘렸습니다. 장기적으로 보자면 좋은 비용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판매와 관리를 위한 비용이 90억 늘었습니다. 매출도 제법 늘고, 판매/홍보 등을 위한 비용이 대폭 늘어난 것을 보니, 새로운 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한 것일 듯 합니다. 향후 홍보를 위한 비용이 절감된다면 해당 부분은 수익 증가에 기여할 것 같습다.


4. 법인세 차감전 순이익

2016년 60억에서 2017년 763억으로 많~~이 늘었습니다. 늘어난 부분을 보니 기타 영업외 수익이 785억이 늘었습니다.  본업 이외에 무언가 수입이 크게 있었던 것입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업보고서의 주석 부분을 보겠습니다. 



영업외 수익 부분을 보니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항목에 748억이 있습니다. 건물 혹은 토지 같은 자산을 처분한 것이 수익에 포함된 것 같습니다. 영업에 활용되지 않을 자산이라면 처분하여 본업에 충실하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5. 당기순이익

앞에서 살펴본 일회성 특별이익이 있어서 2016년 대비 2017년은 10배 가까운 이익이 발생했습니다. 여기서 얻은 현금으로 R&D 투자가 잘 이루어진다면 좋은 성과가 기대됩니다.


6. 총포괄손익

앞에서 얘기되지 않은 부분입니다. 실제 수익이라기 보다는 평가차액을 얘기합니다. 기업 공시를 위한 회계는 가능한 실제 기업의 가치를 보여주는 방향을 지향합니다. 이를 위해서 기업이 가지고 있는 외화, 장비, 토지 등에 대한 평가의 변화를 포함한 손익입니다. 

보령의 경우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손익'에서 8억 정도의 비용이 발생했습니다. 퇴직금을 위해 적립한 돈의 투자성과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 손실에 대한 예상 비용을 계상한 것으로 보입니다.


손익계산서에는 기업의 회계기간동안의 활동 결과가 숫자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이해는 향후 기업의 이익 변화를 예상하는 기초가 됩니다. 


앞서 보신 보령의 경우는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보이시나요?

R&D 투자는 장기 미래를 보는 것이어서 효과는 좀 더 걸릴듯하구요..

판매를 위한 비용을 늘린 효과는 있을까요? 매출이 늘어난 것으로 보니 효과가 없지는 않은 듯 합니다. 그런데, 늘어난 매출이 판매 비용을 아직은 따라잡지 못하네요. 매출 증가가 해당 비용 증가를 언제 넘어설 수 있는가가 중요한 듯 합니다. 



아래는 올해(2018년) 6월까지의 사업현황입니다.

판매관리비와 연구개발비가 증가하고있음에도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했습니다. 늘어난 매출액과 상대적으로 덜 증가한 매출원가가 이익 증가에 기여했을 알 수 있습니다.


매출액은 계속 증가할 수 있을까요? 매출원가 절감도 지속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한 예상은 매출이 증가한 상품과 그 상품이 판매되는(판매될) 시장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어야 가능할 것 같습니다.... ^^;


현명한 투자자는 그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입니다.

현명한 투자자가 되는 길은 멀고도 험한 것 같습니다....

비틀즈의 'The Long and Winding Road'를 들어봅니다.







지난 글 - 폭탄은 피하자!! - 에서 현금흐름으로 한 분식 가능성을 확인하는 지수에 대해서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오늘은 현금흐름표를 기반으로 회사의 상태를 추측하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습니다.


전자공시(http://dart.fss.or.kr/)에서 H사의 2018년 반기 보고서에 있는 현금흐름표를 가져왔습니다.



현금흐름표는 회사의 활동에 따른 현금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다음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집니다.

  - 영업활동 현금흐름

  - 투자활동 현금흐름

  - 재무활동 현금흐름


1. 영업활동 현금흐름

  회사의 주된 업을 운영(영업)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금의 움직임을 보여줍니다. 위의 예에서 보면 감가상각비, 이자 수익 혹은 비용, 퇴직급여, 법인세, 재고 그리고 매출채권(외상거래 금액 ~~ ^^;)등에 따라서 현금이 변화된 내용이 기록됩니다.

회사의 주된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현금(돈)의 흐름이므로 가장 중요하게 보아야 할 부분입니다. 영업활동으로 돈을 벌지 못하고 있다면( 현금흐름이 음수(-)라면 ), 기업은 수익을 내고 있지 못한 것입니다. 예외적으로 사업 초기(혹은 새로운 큰 투자가 있을 경우)에는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음(-)의 현금흐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이 값이 음수라면 회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봐야 합니다.


2. 투자활동 현금흐름

 금융자산(주식, 채권 등), 유형자산(부동산, 생산설비 등), 무형자산(특허권 등)을 사고 파는 활동에 의한 현금 변화를 나타냅니다.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면 자산 구입이 많아지므로 돈은 지출( 현금흐름은 음수(-) )이 됩니다. 반대로 기존의 자산을 처분하면 현금흐름은 양수(+)가 됩니다. 

일반적인 경우, 사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면 자산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므로, 음수(-)가 됩니다


3. 재무활동 현금흐름

 은행과의 거래(대출, 상환 등)과 배당금 지금, 혹은 새로운 주식 발행 등 활동에 의한 현금 변화입니다. 사업 초기에는 투자금이 필요하므로 대출을 하여 현금을 확보하므로 이 값은 양수(+)가 됩니다.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면 대출금을 점진적으로 상환을 하게 되므로 이 값은 음수(-)가 됩니다.


위의 H사의 경우는, 영업현금 흐름은 +, 투자현금흐름과 재무현금흐름은 - 를 보이고 있습니다. 즉, 영업에서 돈을 벌어서 투자하고 빚을 갚아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크기를 살펴보면 22.5억을 벌어서, 14.9억을 투자하고, 15.4억의 빚을 갚았습니다. 그리고 남은 돈(기말현금)은 15.2 억입니다. 

정상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현금흐름의 성격을 이해하면, 현금흐름을 보고 기업의 현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영업현금흐름, 투자현금흐름, 재무현금흐름이 각각 아래와 같은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1) +, +, + 

  영업에서 돈은 벌고 있습니다. 그런데, 설비나 부동산(사업장??)을 팔고, 또 은행에서 대출을 받고 있습니다. 영업에서 충분한 돈을 벌지 못해서 빚을 내고, 사업을 정리하고 있는 듯 합니다.


2) +, + -

  돈을 벌고 있는데, 설비를 팔고, 빚을 갚고 있습니다. 빚을 갚는 게 급해서 사업을 구조조정하는 걸까요?


3) +, -, +

  돈은 벌고 있고, 투자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은행에서 대출을 받습니다. 투자가 크게 있는 경우로 사업이 확장하고 있는 사업초기나 신규 투자가 있는 것 같습니다.


4) +, -, -

  돈을 벌어서, 투자도 하고 빚도 갚고 있습니다. 사업이 순항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5) -, +, + 

  영업 수입이 없습니다. 기존 자산도 팔고, 빚을 내고 있습니다. 사업에 문제가 많은 것 같습니다. 아직, 빚을 낼 수 있다는 것(누군가 돈을 꿔줬다는 것)은 희망이 있다는 것일까요?


6) -, +, -

   영업 수입이 없습니다. 기존 자산을 팔아서, 빚을 갚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빚 독촉을 받았을까요? 파산할 가능성도 있는 듯 합니다.


7) -, -, +

  영업 수입은 없지만,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투자할 돈을 대출받았습니다. 회사를 설립하고, 투자자들에게서 대출(투자)를 받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희망찬 시작일까요?


8) -, -, -

  영업 수입은 없지만, 투자도 하고, 빚도 갚고 있습니다. 예전에 벌어둔 돈이 많은 것 같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투자)를 하고, 기존 대출도 갚고 있는 것일까요? 현금이 떨어지기 전에 투자한 부문에서 돈을 벌 수 있어야 할텐데요...


현금흐름표는 임의로 조작하기 어렵습니다. 회사의 현상황을 거짓없이 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의 미래 모습을 그려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