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장기 투자) 실질 수익률의 97%는 배당재투자에서 나온다"

- 제레미 시겔 <투자의 미래> - 

( 출처 : 제레미 시겔의 <투자의 미래> )


제레미 시겔은 그의 저서 <투자의 미래>에서

장기 투자의 진정한 수익은 배당재투자에서 얻어진다고 얘기합니다.


그가 수집한 데이터에 의하면,

배당재투자 없이 1872년에서 2003년까지

132년 동안의 미국 주식 가격 상승에 의한 수익

243배(1000 ==> 243,386)입니다.


같은 기간동안 배당재투자를 한 결과

7947배(1000 ==> 7,947,930)입니다.


배당 수익의 효과를 잘 보여주는 자료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132년의 투자 수익을 비교하는 것은

평균적인 수명을 고려할 때 현실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보다 현실적으로 10년간의 배당수익을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드린

NEE(넥스트에러 에너지 - NextEra Energy)의 배당 수익에서 살펴보겠습니다.


 


'NEE'의 경우 2019년 10월 현재 연 배당 수익률은 2.16% 입니다.

지난 10년간 2% ~ 4%를 유지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평균적으로 3%의 배당을 생각하고,

2008년 8월 ~ 2019년 10월의 기간을 11년으로 생각하겠습니다.



단순하게 받은 배당의 금액을 생각한 수익률은 33%가 됩니다.


(총 받은 배당 금액의 수익률) = 11(년) X 3(%) = 33%



여기에 받은 배당에 대한 이자를 포함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이자률은 'e-나라지표'의 기준금리를 참조하겠습니다.

( 출처 : e-나라지표 )


기준금리는

2011년 3.25%에서,  2019년현재 1.5%까지 하락했습니다.

대충 2.0% 정도로 계산을 하겠습니다.

계산은 작년(2018년)까지 11년간 받은 배당을 고려하겠습니다.


(금리 고려한 수익율) = 0.03*(1+0.02)^11 + ... + 0.03*(1+0.02)

= 0.03 x 1.02 X ( 1.02^10 + 1.02^9 + .... + 1.02 + 1 )


위의 계산은 고등학교 시절 배운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이용항하여 계산하겠습니다.


( 참고 : 등비수열의 합 공식 )


(금리 고려한 수익률) = 0.03 * 1.02 * ( 1.02^11 -1)/(1.02 -1)

= 0.372 (배)

= 37.2%


단순계산한 33%에 비해서 약 4.2%의 수익이 더해졌습니다.

그렇지만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고려하지 못한 부분이 하나 더 있습니다.

회사의 배당율은 주가가 올라가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NEE의 경우,

2008년 주가가 60 달러에서

2019년 232 달러로 오르는 동안에

배당금도 그 비율에 따라서 증가합니다.


11년간 270% 상승에서

평균적인 상승률을 구해보겠습다.


매년 상승율을 r(%)라고 하면,

2019년 현재 가격이 2008년 가격의 약 3.7배 (270% 수익률)이므로

다음의 식이 성립합니다.


( 1 + r )^11 = 3.7


r = 0.13 = 13(%)


매년 상승하는 배당 금액을 고려한 수익율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리와 배당 상승 고려한 수익률) = 0.03*(1.02)^11 + 0.03*1.02^10*(1.13) +.... + 0.03*1.02*(1.13)10

= 0.03*(1.02)^11( (1.13/1.02)^11 -1)/(1.13/1.02 -1)

= 0.721

= 72.1(%) = 약 72% 배당 수익률


NEE의 지난 11년 동안의 배당 수익률은 약 72% 정도인 것 같습니다.

이는 가격 상승에 의한 수익률 270%에 비해서는 작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익이라고 생각합니다.


배당에 의한 수익률이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생각하면

수년 내에 주가 상승에 의한 수익을 앞설 것 같습니다.


위의 수식으로 9년 뒤인 2028년의 배당 수익률을 계산해 보면

0.03*(1.02)^20*((1.13/1.02)^20 - 1) / ( 1.13/1.02 -1 ) = 2.79

= 279(%)


가격 상승에 의한 수익률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100년이 넘어가면 충분히 역전될 것으로 보여집니다.


장기적으로는 배당은 복리의 수익은 마법을 보여줍니다.

( 출처 : Analytics Story )



제레미 시겔은 배당을 단순히 수익 측면에서만 본 것은 아닙니다.

'배당은 서류(재무제표) 상의 순이익이 진짜'임을 보여주는 지표로 생각했습니다.

또한 '대리인 비용'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서도 중요하다고 얘기합니다.


( 이미지 출처 : 매일경제 )

 

"배당에 대한 투자는 수익성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투자"라 얘기합니다.



투자 공부를 시작한 지 10여년 되었습니다.

국내와 해외를 나누어 투자를 시작했습니다.


국내 주식은 1년 ~ 5년 정도 보유를 하고 있고,

해외 주식은 매수 후 가능한 보유를 했습니다.


장기 보유한 종목의 수익률을 살펴봅니다.



ADM(아처 대니얼스 미드랜드 - Archer Daniels Midland Company)는 

전세계 곡물 거래를 주도하는 주요 회사 중 하나입니다.

( 출처 : 위키백과 )


2009년부터 2011년까지 매수 후 보유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과의 무역마찰로 중국으로 수출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하락했습니다.

( 일본에서 사준다고 했으니 좋아지겠죠? ... ^^

참고 : "아베 총리가 중국 대신 옥수수 구매" )


( 출처 : 글로벌이코노믹 )


주가하락으로 3.5%이상으로 상승한 배당율과 17 정도의 PER을 확인하고,

지난 9월에 추가매수를 했습니다.


( ADM 주가 변화 - 출처 : etrade )


현재 매수한 ADM 주식의 평균 수익률은 30.68% 이고,

2009년 4월에 매수한 분량에 대한 수익률은 62.36% 입니다.




NEE(넥스트에러 에너지 - NextEra Energy)는

북미 지역에서 풍력과 태양 에너지 기반의 재생 에너지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 참조 : 미국 대체에너지 공급의 대표주자 )

( 출처 : 위키백과 )


2008년 8월 63달러에 1차 매수를 했고,

2012년 2월에 60달러에 2차 매수 후에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재 233.59달러로 평균 271.85%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 NEE 주가 변화 - 출처 : etrade )


연 3%의 배당 수익까지 생각하면,

10여년 간에 걸친

ADM과 NEE에 대한 투자를 나쁘지 않은 듯 합니다.



그러나, 10년이라는 시간을 생각하면

ADM에 대한 투자 수익은 다소 부족하지 않나 싶기도 합니다.

 

두 종목의 차이는 왜 발생한 것일까요?


돌아보면 가능성(?) 차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ADM의 취급상품은 '곡물'이고, NEE의 취급상품은 '재생 전력 에너지'입니다.


곡물은 

수요가 크게 상승하지 않고, 

공급은 (종자, 재배기술 등의 발전으로) 안정적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전력 에너지는

4차 산업혁명으로 클라우드, 머신러닝, 로봇에 의한 자동화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방사능 위험, 이산화탄소 배출 문제 등으로 기존 전력 공급 시스템은 한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환경 위험을 줄이는 재생 에너지가 대안으로 부각되는 것 같습니다. 



NEE와 ADM에 대한

10년 간의 투자의 성패는

시간에 따른 수요와 공급의 변화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 같습니다.


세상의 변화를 볼 수 있는 경험과 지식이 투자의 바탕이라 생각됩니다.



파생상품이 다시 금융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 출처 : 조선비즈 )



60%에 달하는 엄청나 손실에 투자자들은 소송을 진행합니다.

( 출처 : 연합뉴스 )


10여년 전, 2008년에 많은 기업을 힘들게 했던

키코(KIKO : Knock-In, Knock-Out ) 사태를 떠올리게 하는 장면입니다.

( 출처 : 한겨레 )


2013년 대법원 판결도 경우에 따라 달랐을만큼

논쟁의 여지가 많았습니다.


( 출처 : 머니투데이 )



파생상품은 위험이 큰 '제로섬' 게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출처 : 팜뉴스 )


누군가 수익을 거두려면, 반드시 누군가 손해를 보게 된다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해당 상품은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위험의 상품이었습니다.

'풋옵션 매도'라는 상품으로

가능한 최대 수익은 4%

최대 손실은 100%입니다

( 출처 : 뉴스줌 )



금융감독원은 파생상품을 판매한 은행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 출처 : KBS 뉴스 )



파생상품은 수익 구조가 복잡합니다.

언제 수익을 얻고, 언제 손해를 볼지 예상하기가 어렵습니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품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버핏의 경고를 되새깁니다.

"위험은 자신이 무엇을 하는지 모르는 데서 온다"

Risk comes from not knowing what you are doing so wide diversification is only required when investors are ignorant. You only have to do a very few things in your life so long as you don't do too many things wrong. - Warren Buffett

( 출처 : http://www.azquotes.com/quote/1259463 )



특별한 일이 없는 주말에는

남산도서관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 이미지 출처 : 남산 도서관 )


관심있는 분야의 도서를 검색하고,

필요한 책을 대출합니다.


소장하고 있는 DVD도 대출 가능합니다.


이번에는 다소 자극적인(?) 제목의 DVD를 선택습니다.

( 이미지 출처 : 남산도서관 )


'한국재무설계' 대표이신 오종윤씨의

도서 출간 기념 강연 녹화 DVD 였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이데일리 )


'큰 부자는 아니어도 부족하지 않게 사는 것은

누구나 가능하다.'


한가지 메시지를 전하면서

실제적인 방법으로 '적립식 투자'를 제안합니다.



"(경제적으로) 부족하지 않은 삶을 위해서

'저축(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고

적립식 투자를 일찍 시작하여 복리 효과를 극대화 하라"


'적립식 투자(혹은 펀드)'는

하락기에 싸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출처 : SK 증권 네이버 블로그 )


강연을 보면서 생각을 해봅니다.

"적립식 투자는 항상 성공하는 투자일까요?"


계속 하락하는 종목에 투자한다면 성공할 수 없을 겁니다.

(참고 : 살아남아야 도모할 수 있다 - 한진해운 )


언젠가 회복될 분야에 대한 투자가 되어야 성공할 수 있습니다.


언젠가 오를 가능성의 높은 종목을 고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두 가지 조건을 생각해봅니다.


1) 현재 상황이 좋은 기업

2) 미래 수익이 예상되는 기업



1) 기업의 현재 상황은 '재무제표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분식회계로 꾸며진 재무제표를 거르는 것만으로도 부실 기업은 걸러낼 수 있습니다.

( 참고 : 폭탄은 피하자 - 분식가능지수 )

( 참고 : 폭탄은 피하자 2 -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 )


현금흐름을 통해 숨겨진 수익을 살필 수도 있습니다.

( 참고 : 기업의 숨겨진 진짜 수익성 - 더존비즈온 )


공장 가동율을 살펴서 매출의 흐름을 생각해 볼 수도 있습니다.

( 참고 : 선행지표 찾기 - 공장가동율 )




2) 기업의 미래 수익은 '사업 내용과 환경'을 살펴봐야 합니다.


기업을 둘러싼 환경(전방 산업, 후방 산업)의 변화는 사업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 참고 : 선행지표 찾기 - 전방산업 )


사업의 변화는 기업의 존망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 참고 : 유통 산업의 변화 )


기술의 발전은 사업에 큰 영향을 줍니다.

( 참고 : 다가오는 AI 세상



'성공하는 투자'는

( 생각없는 적립식 투자가 아니라 )

현재 적정한 수익을 내고 있고,

미래에도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월마트 창업자 '샘 월튼'의 얘기를 되새겨 봅니다.

( 출처 : 이투데이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에게도

2019년은 시련의 해가 되는 것 같습니다.

( 출처 : 연합인포맥스 )


많은 지분을 소유한 '크래프트 하인즈(KHC - Kraft Heinz Company)'의 주가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이트레이드 )


2018년 초 80달러였던 '크래프트 하인즈'의 주가는

지난 금요일(2019년 8월 9일) 26.5 달러로 마감했습니다.


'크래프트 하인즈'는 

하인즈 캐첩으로 유명한 '하인즈'와

맥스웰 하우스 커피, 크래프트 치즈로 유명한 '크래프트'가

2015년 합병하여 만들어진 대규모 식품회사입니다.

( 출처 : TheFoodUS )


합병 당시 

비용 절감시너지에 의한 새로운 시장 진출 가능성으로 기대를 모았습니다.

( 출처 : 중앙일보 )


현재까지 보이는 결과는

기대(예측?)와는 많이 다른 것 같습니다

( 출처 : 조선비즈 )


작년(2018년) 보유하던 '크래프트 하인즈'에 대한

주가 하락에서의 매도 결정은 좋은 선택이었습니다.



월스트리트의 철학자 '나심 탈렙'은

극단이 지배하는 금융에서

예측을 경계하라고 조언합니다.

( 참고 : 2019년 한국 경제의 블랙스완 )

( 이미지 출처 : 알라딘 )



예측할 수 없는 

생각을 벗어나는 흐름이 생기면

바로 빠져나오기 위한 대비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니콜라스 다비스'의 자동 손절매 시스템은

예측할 수 없는 주식 시장에서 

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산을 지키는 좋은 방어임을

다시 느낍니다.

( 참고 : 어메이징 박스 이론 )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얼마에 사야할까"

주식 투자를 시작하면 많은 생각을 했던 질문입니다.


답을 찾기 위해 많은 책을 살폈습니다.

몇 가지 방법을 엑셀(Excel) 시트로 정리해 적용해보기도 했습니다.


2014년 4월 '에스엘'에 대해 적정가격을 평가했던 자료입니다.

당시(2014년 4월) '에스엘'의 주가는 19,000원,

'현명한 초보 투자자'에서 제안한 평가방법으로는 17,089원,

제가 생각한 평가 방법으로는 25,789원,

벤저민 그레이엄의 평가방법으로는 1,134원이었습니다.



'에스엘'의 주가는

2014년 4월에서 현재(2019년 7월)까지

12,850원에서 29,800원을 오르내렸습니다.

그리고, 지금 21,450원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버핏의 스승인 '벤저민 그레이엄'은 철저하게 안전한 투자를 추구했습니다.

'꽁초줍기'라고도 불리우는 철저하게 안전한 투자방법이었습니다.

그만큼 가치평가에 인색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증권플러스 )

'꽁초줍기' 방식의 평가는 현재가치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 적정가치 ) = ( 유동자산 - 부채 )/(주식 수)


현재 사업에서 벌어들일 미래의 가치는 완전히 무시하는 방법입니다.




도서 '현명한 초보 투자자'에서는 아래와 같이 평가합니다.

적정 가치 = (기업이 버는 이익’) + (과거에 벌어 저장하고 있는 재산’)


이를 구체적인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적정 기업 가치) = (10 * 영업이익) + ( 유동자산 - 1.2*유동부채 + 투자자산 - 고정부채)

현명한 초보 투자자

( 이미지 출처 : YES24 )


2014년 당시 저는 '현명한 초보 투자자' 방식을 다소 단순화한 방법을 택했습니다.
 (적정 주식 가치) = (10 * 주당 순이익) + (주당 순자산)

위의 엑셀 시트에서 계산되는 '에스엘'의 적정가치는
10*2,158 + 4,204 = 25,784 (원) 입니다.

그러면, 얼마에 사야할까요?
저는 30% 수익 이상의 수익을 원합니다.
25,784 * 0.7 = 17,500 (원)

위의 계산에 따르면,
2014년 4월에 17,500원에 매수를 예약해 두고,
(매수가 된다면) 25,784원에 매도를 예약해 둡니다.


역으로 그 결과를 살펴보면,
2015년 1월에 17,500원 이하로 매수가 가능한 가격이 됩니다.
그리고, 2017년 1월 25,800원 이상으로 상승해서 매도됩니다.
2년 투자에 약 47%의 수익입니다.

2017년 9월에 다시 17,500원 이하로 매수가 가능해지고,
2018년 1월에 25,800원 이상으로 매도 가격을 넘어섭니다.

계속 같은 방법을 고수했다면,
2018년 7월과 10월에 17,500원 이하 가격이 되고,
2019년 4월에 매도 가격 이상이 됩니다.

현금을 일정부분 보유하는 '분할매수' 방법에 익숙하다면,
2018년 10월 상황에서는 매수가격을 상당히 낮출 수 있습니다.

낮아진 매수가격만큼 수익률은 높아집니다.

가격은 수익을 결정합니다.



매매에서 '가격'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유통업은 '가격'이라는 경쟁 우위를 갖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 이미지 출처 : 11번가 )



국내 '최저가 보상제'는 20년이 넘는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이마트는 1997년 5월 분당점에서 '최저가 전쟁'을 시작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산업정보포털 )


낮은 가격에 대한 전쟁은

모든 업종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제품의 원가를 낮춰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 참고 : 회전율을 높여라



주식투자도 그렇습니다.


제품 원가(매수 가격)가 낮으면

가격 경쟁력(수익)을 확보하기 쉽습니다.


"잘 파는 것에 연연하지 마라.

매력적인 가격에 잘 사기만 하면

매도 가격이 다소 낮아도 투자성과는 괜찮다."

- 워런 버핏




적절한 매수 가격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분산 매수"라고 생각합니다.


( 출처 : 행복한 은퇴 발전소 )


현 주가가 10000원인 주식을 매수하고자 한다면,

매수 적정 가격에서 3~5회에 걸쳐 가격의 변동을 보면서

나누어 매수합니다.


가격이 하락하면, 매수 가격을 낮출 수 있고,

가격이 상승하면, 이전 매수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워렌 버핏은 주식을 할인가에 사고자 했습니다.
두려움에 빠져 대폭 할인된 가격에 나온 주식을 추천합니다.

( 출처 : KAPITALUST )



'싸다'는 판단은 적정 가격을 알아야 할 수 있습니다.


적정 가격 판단은 주관적이어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합니다.



시장의 흐름에 정통한 투자자는 있을까요?


월스트리트의 전설이 된 펀드매니저 

'피터 린치'는 솔직히 얘기합니다.


"나도 실패할 수 있다"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 이미지 출처 : YES24 )


주식시장의 흐름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물리학자 뉴턴도

주식시장을 이해할 수 없었다고 고백합니다.


20180120_001615.jpg

( 출처 : 다음블로그 )


이해하기 어려운 시장에서는

모르는 정보에 대한 욕심이 생겨납니다.


이런 욕심은 다른 사람이 전하는 

그럴듯한 소식에 귀를 기울이게 합니다.


유럽 주식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둔

앙드레 코스톨라이도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 합니다.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코스톨라니는 투자자 모임에서

웨이터의 실수로

당시 유명한 금융전문가에게 전해지는 전보를 보게됩니다.

전보에는 특정 종목을 매수할 것이라는 내용을 있었습니다.

추종매수를 한 결과는 큰 손실로 마무리되었습니다.


피터린치는 스스로 이해하지 못하는 투자는 하지말라고 충고합니다.

돈을 버는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기를 권합다.



지난 해(2018년)에 주변에서 들은 얘기로 투자한 적이 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BizEnter )


유명 작곡가 김형석씨가 대표로 있는 '키위미디어그룹'에서

걸그룹 데뷰를 준비하고 있으니

지금이 투자하기 좋은 기회라는 얘기였습니다.


 기사의 0번째 이미지

( 이미지 출처 : MBN Star )


걸그룹에 대해 아는 것도 없고

연예기획사에 대한 이해는 없었지만

'소녀시대' 팬이 SM 주식으로 큰 수익을 냈다는 기사를 읽은 적은 있었습니다.

( 출처 : 조선비즈 )


28배(금액으로는 6억 정도)라는 큰 수익에 대한 욕심도 있었습니다.



2018년 5월, 당시 주가는 500원대였습니다.

큰 금액은 아니었지만 매수를 2번에 나누어 매수를 했습니다.


그런데, 데뷰한 걸그룹은 크게 인기를 끌지는 못한 것 같습니다.

하락하는 주가

적자를 보이는 손익계산서를 지켜보다가

8월에 손절매로 투자를 마무리했습니다.





팬도 아니고, 기획사에 대한 이해도 없는 

문외한의 엔터테인먼트 사업 투자는

-12%의 손실

돈을 버는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곳에 투자하라는 교훈

남기고 마무리되었습니다.



키위미디어그룹은 지난 5월 7일 30:1로 감자를 결정했습니다.

계속된 적자로 악화된 재무구조를 견디지 못하고,

결손금 보전을 위한 결정이었습니다.


감자 소식에 주가는

300원대에서 150원대로 폭락했습니다.


예상과 다르게 움직이는 투자에 대한 손절매는

반드시 기억해야 할 투자습관입니다.

( 참고 : 아프지만 기억해야할 손절매 )

( 참고 : 살아남아야 도모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