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케티의 <21세기 자본론>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이 벌어들이는 돈이 노동이 벌어들이는 수익보다 높음을 얘기하였습니다. 


<기꺼이 자본가가 되어라>는 자본으로 돈을 버는 방법을 이야기 합니다. 자본가 지능(CQ - Capalist Quotient)에서 자본가로서의 미래까지를 간결하고 직설적으로 표현합니다.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책은 7개의 장으로 구성됩니다.

-------------------------------------------------------------------------------------------------------

1. 자본가를 향하여

 자본가 지능의 세가지 요소 - 투자기술, 촉, 혜안-을 키울 것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자본주의 시장에서의 게임 법칙을 익혀두라고 조언합니다.


2. 투자의 기술

 책에서 배운 것을 실전으로 익히는 것을 권합니다. 만능의 방법은 없으며, PER/PBR등 기본적인 분석과 애널리스트 리포트, 차트, 기업의 비즈니스 모델, 그리고 경영자에 대한 생각을 간략하게 정리합니다. 독과점 업체와 브랜드 파워가 있는 종목을 강력추천하고 있습니다.


3. 투자가의 토픽

 남해회사(South Sea Company)에 투자한 뉴튼과 헨델의 사례로 투자에 있어서 '감정 다스리기'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모의투자'를 통한 연습과 투자 노트 작성을 시작하기를 권합니다. "'기다림'을 익히는 것이 자본가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라는 표현에 공감이 됩니다.


4. 자본가의 토픽

 자본가의 길은 '확률 게임'과 '자본가의 촉' 으로 표현합니다. 두가지를 익히는 절차를 설명합니다. 자본가의 진정한 자산인 CQ (자본가 지능)의 핵심을 얘기합니다.


5. 화폐의 속성

 자본주의의 핵심인 자본의 포악함을 보여줍니다. 약자에 이율이 높아지는 '강자에 너그럽고 약자에 포악한 화폐의 모습'을 직시하게 합니다. 투자에는 대중심리에 의한 '공포'을 싣지 않기를 권고합니다. 돈의 습성을 이해하면 돈의 권력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6. 자본가의 품격

 자본가가 이해해야 하는 사회 시스템, 리스크 관리, 경제 구조 변화에 대한 지식을 이야기 합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변화에서 인류 공존의 방법에 논의를 제안합니다.


7. Play the future

 주인이 되어 경영하고 싶은 기업을 찾고, 기업가로서 전략을 생각해보라고 얘기합니다. 좋아하고 사랑하는 분야를 알아가는 것이 자본가의 '촉'을 키우는 길이며 'CQ'를 높이는 길임을 얘기합니다. 그리고 얘기합니다.  'Play the Future~~'

---------------------------------------------------------------------------------------------------------


책은 강하고 단순하게 '자본을 이용하여 돈을 벌라'고 얘기합니다. 그리고 그 자본가의 길로 가는 초입을 얘기합니다. 그러나, '자본가의 길로 들어설 자본'은 언급하지 않습니다. 자본가가 되고자 하면 스스로 어떤 어려움에도 자본을 모아가게 되는 것일까요?


자본가로서의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모든 분들에게 행운이 함께 하기를 기원드립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