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된 재무제표를 통해 투자자는 회사의 안정성 ( 회사가 재무적으로 안정되어 부도가 날 위험이 없는가? ), 성장성 ( 사업은 커나가고 있는가? ), 수익성 ( 돈은 잘 벌고 있는가? )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정성'이라 생각합니다. 재무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성장하던 회사도 하루아침에 부도를 맞아 몰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회사의 안정성 지표로는 1년 정도의 단기간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유동비율'과 수년 이상의 장기간의 안정성을 보여주는 '부채비율'이 있습니다.
(유동 비율) = (유동 자산)/(유동 부채)
(부채 비율) = (총 부채)/(총 자본)
혼동스럽게도 하나는 가진 자산을 위(분자), 빌린 부채를 아래(분모)에 두었고, 다른 하나는 빌린 부채를 위(분자), 가진 자본을 아래(분모)에 두었습니다. 가진 자산을 위에 둔 '유동비율'은 클수록 좋고, 빌린 부채를 위에 둔 '부채비율'은 작을수록 좋습니다.
'유동비율'이 의미하는 바는 1년 내에 갚아야 한 빚(유동 부채)을 1년 내에 현금이 되는 자산(유동 자산)으로 '갚을 수 있는 가능성'입니다. '유동비율'이 100% 라면 '1년 동안 사업이 계획에 맞게 된다면 빚을 갚을 수 있다'라는 의미입니다. 그런데, 사업도 사람의 일인지라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이라 평가하는 유동비율은 150% 이상, 더 보수적으로는 200% 이상으로 잡습니다.
'부채 비율'은 사업을 위해 사용하는 돈에서 '빌린돈의 정도'를 표현합니다. 부채비율이 100%라면 '사업용 자금 중에서 빌린 돈과 내돈의 크기가 같다'라는 것입니다. 즉, '사업자금의 반을 날리더라도 빌린돈은 갚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채 비율이 낮으면 돈을 빌리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합니다.
그런데, 유동자산에는 '재고자산(팔 수 있는 물건)'과 '매출채권(외상값)'이라는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사람이 조작하기 쉬운 자산이 포함됩니다. 팔 수 있는 물건의 양은 일일이 확인이 어렵습니다. 그리고, 외상값도 거래 상대자를 하나하나 확인하기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숫자는 분식회계의 단골 손님입니다.
매출 채권과 재고자산을 늘리면 '유동자산'이 늘어나고 유동비율이 높아집니다. 그리고, 전체 자산도 늘어나기 때문에 자본( = 자산 - 부채 )이 늘어나는 효과도 있어서 부채비율은 낮아집니다. 결과적으로 회사는 높은 안정성 평가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없는 물건을 있다고 하거나 없는 외상값을 있다고 하는 거짓은 규모가 커지면 숨기기 힘들어 집니다. 그 결과를 때때로 신문 기사로 확인하게 됩니다. 분식회계가 발생하면 해당 기업의 주가는 폭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재무제표에서 이상한 점이 있다면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출채권과 재고자산의 유효성은 매출액과 비교하는 것입니다. 기업간의 거래에서 외상은 많은 경우, 3개월 정도입니다. 기간이 늘어나더라도 6개월은 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즉, 3개월치 매출액을 많~~이 초과하는 외상값(매출채권)은 이상 징조 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인 소비재 산업의 경우에 팔 물건(재고자산)을 2~3개월 매출액을 아주 넘겨서 유지하는 것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 일반적인 재고자산과 매출채권 비율 >
그리고, 지난 포스팅 - '폭탄은 피하자' -에서 얘기드린 것처럼 현금흐름과 순이익을 비교하는 '분식가능지수'도 같이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폭탄을 피하면 투자의 성공 확률은 많~~이 높아집니다.
'투자 > 투자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업의 부채 아닌 부채 - 무이자 부채 (0) | 2018.12.18 |
---|---|
매도시점 결정 방법 - 이마트 (0) | 2018.12.17 |
선행지표 찾기 - 전방산업 (0) | 2018.12.05 |
살아남아야 도모할 수 있다 - 한진해운 (0) | 2018.11.29 |
선행지표 찾기 - 공장 가동율 (0) | 2018.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