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튤립이 왔습니다.




피어있는 튜립의 신비스런 아름다움은

빠져들기에 충분합니다.




영화 <월스트리트2:돈은 결코 잠들지 않는다>에서

투자가 게코는 사위 제이콥에게

17세기 네델란드의 튜립 파동(Tulip Mania)을

삶에 비유해서 이야기합니다.

( 이미지 출처 : 월스트리트2 )


"(인간 사이의) 관계들, 그런 것은 거품과 같아.

(Relationships, they're like bubbles.)

덧없는 것이지.

(They're fragile.)

이 그림은 1600년대 네델란드의 거대한 거품에 대한 이야기야.

(This is the greatest bubble story of all time. Back in the 1600s, the Dutch)"


( 이미지 출처 : 월스트리트2 )


"튜립 한뿌리가 암스테르담 운하의 멋진 집 가격과 맞먹을 정도로 투기 열병이 일었지.

(They got speculation fever to the point that you could buy a beautiful house on a canal in Amsterdam,

for the price of one bulb.)

이것을 튜립 파동(광기)라고 부르지.

(They call it 'Tulip Mania')

그리고는 무너져 내렸지.

(Then it collapsed)"



영화 속 게코의 얘기처럼

사람들은 때때로

무언가에 열광(열중?)하곤 합니다.


스포츠, 아이돌, 그리고 사랑.


호감을 넘어서 열광, 

그리고 광기에 가까운 사랑은

이성적 판단을 흐리곤 합니다.



주식의 가격도

튜립의 가격처럼

때때로 튀어 오르곤 합니다. 

2016년 영진약품 주가도 그랬습니다.

2000원 대였던 주가는 몇 달 만에 10배가 되었습니다.



2019년 4월 현재 6500원대로 내려 앉았습니다.


주당 순이익이 10원, 20원 혹은 적자인

주식 가격(가치)이라고 하기에는

많이 높은 듯 합니다.


당시 갖고 있던 영진약품 주식은

구매 가격의 2~3배 정도로

마무리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정도 이상의 가치는 (절대~~) 없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가격까지 상승했습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드린

<박스이론>의 창시자

니콜라스 다비스

이런 현상을 잘 이해하고 대응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주가가 오르고 있는 동안에는 매도하지 않았습니다.

주가가 큰 고개를 넘어 

하락하기 시작하는 지점을 찾아

매도의 시점으로 잡았습니다.


비이성적인 인간의 행동을 투자에 활용했습니다.



영화 <장미의 이름>은 이런 인간의 광기를 경계합니다.


( 이미지 출처 : 다음 영화 )


"가짜 그리스도는 지나친 믿음에서 나올 수도 있고,

하느님이나 진리에 대한 지나친 사랑에서 나올 수도 있다. 

선지자를 두렵게 여겨라. 

리고 진리를 위해서 죽을 수 있는 자를 경계하여라.

진리를 위해 죽을 수 있는 자는 대체로 많은 사람을 저와 함께 죽게 하거나, 

때로는 저보다 먼저,

때로는 저 대신 죽게 하는 법이다."


숨어있는 마음 속 광기를 경계하고자 합니다.


( 이미지 출처 : 티스토리 )


올해도 튜립이 지나갑니다.




투자 대상 선정을 감에 의존하기에는 너무 중요합니다.

투자 초기에는 그런 감이 오지도 않습니다.


시간을 들여서 경제와 사회의 변화를 살피고

회사의 흥망성쇠를 살피고서야

조금이나마 투자 종목에 대한 생각이 생깁니다.


회계에 대한 공부,

특히나 전자공시( dart.fss.or.kr )의 사업보고서를 읽는 연습은 주식 투자의 기본이라 생각합니다.


(이미지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 )


막상 회계를 공부하고자 하면

용어에 대한 이해와 숫자가 주는 부담감에 막막해집니다.


도서 <하마터면 회계를 모르고 일할 뻔했다>에는

입문자의 이해를 돕고자 노력한 흔적이 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회계의 기본 항등식 (자산) = (자본) + (부채) 에서 시작한 설명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의 관계

이익의 종류(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자산과 비용의 개념

좋은 빚(이자 없는 부채)과 나쁜 빚

감가 상각과 (유무형) 자산 손상 회계 등을

다양한 실제 사례(한미약품, 셀트리온, 빗썸, 쿠팡 등등)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21장에서 설명하는 '망할 회사 구분하기'만으로도

상장 폐지라는

폭탄이 될 종목을 피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실제 재무분석을 보여주는 후반부(22장 ~ 27장)의 내용은

자신만의 종목 선정법의 기초가 될 것입니다.


마지막 부분의 재고자산 회전율에 대한 설명에서

제 포스팅 <회전율을 높여라>에서도 사용한

'백종원의 골목식당'의 예를 들고 있어서 재밌었습니다.


( 이미지 출처 : SBS 골목식당 )


투자를 하고자 하는 분들께 권해드리고 싶은 책입니다.





22,000 명이 참여한 AWS (Amazon Web Service)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마치 샌프란시스코 IT 행사에 참석하는 느낌마저 드는 규모입니다.


국내 '클라우드(Cloud)' 시장 규모가 느껴집니다.




행사는 지난 4월 17일(수)과 4월 18일(목), 2일간 진행되었습니다.


( 출처 : 아마존닷컴 )



아마존 클라우드 환경인 AWS 를 활용한 다양한 사례와 기술에 대한 소개가 있었습니다.


특히나 빅데이터에 기반한 

ML (Machine Learning), 딥러닝 사례 소개가 많았습니다.

  

( 출처 : 아마존닷컴 )

시계열 분석을 발전시킨 Amazon Forecast

개인화된 추천을 도와주는 Amazon Personalize

제 관심을 끌었습니다.



2000년 대 후반,

저명한 IT 미래학자 '니콜라스 카'는 발전소에 비유하며

'클라우드(Cloud)' 세상이 올 것임을 예견하였습니다.

( 출처 : 조선 비즈 )


10여년이 지난 2019년,

'니콜라스 카'의 예상은 현실이 되었습니다.

( 출처 : 조선 비즈 )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처럼

'클라우드(Cloud)'의  IT 환경은

현대 사회가 공유하는 사회간접자본입니다.


'IT 공유경제'라 할 것입니다.




워런 버핏은 클라우드로의 변화를 알지 못했음을 후회했습니다.

( 출처 : 중앙일보 )


현재 클라우드의 최강자 '아마존'의 주가는 

2008년 40달러 근처에서.

2019년 현재 1900 달러 수준으로

50배 정도 상승했습니다.


( 출처 : 구글 금융 )



2018년 4분기 매출은 724억 달러 (약 80조원)으로 45%나 뛰어 올랐습니다.

( 출처 : venturebeat.com )




클라우드 시장은 향후 몇년간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 출처 : 조선비즈 )




현재 국내 클라우드 시장의 80%는 

아마존(AWS),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 출처 : 매일경제 )



확대되는 클라우드 시장에서

영향력있는 국내 업체가 생겨나기를 기대해 봅니다.




[2019 BI 컨퍼런스]에 다녀왔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아이티데일리 )


지난 목요일(2019년 4월 11일)에 열린 행사에서는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딥러닝 포함)을 기반의 다양한 기술과 제품 소개 세션이 있었습니다.

( 출처 : 아이티데일리 )   


이와 함께 열린 '한국 데이터마이닝 춘계학술대회'에서는

국내 대학 연구실에서 진행된 인공지능 관련 연구 논문 발표가 있었습니다.

( 출처 : 아이티데일리 )


'딥러닝 응용 : CNN과 RNN' 파트의 네번째 세션,

'시계열 데이터 예측을 위한 Attention 기반 RNN 모델'은

딥러닝의 일종인 RNN(Recurrent Neural Network - 순환신경망)으로

주가 예측을 시도한 연구였습니다.


최신 딥러닝 기술들(RNN, BiLSTM, Attention 등)을 동원하여

복잡한 모델로 주가 예측을 시도했습니다.


이전 시도들에 비해 다소 나은 에측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큰 차이는 아니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개인적으로도 머신러닝 기술(베이지안 추론)을 활용하여

주가 상승/하락 시점 탐지를 시도한 적이 있습니다.

( 참조 : 주가 변화시점 탐지 )


'주가가 박스권에서 벗어나서 상승 혹은 하락하는 시점을 빠르게 탐지'

하기 위한 테스트는에서 

작은(?)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금융산업의 IT와의 강한 연관성은

'핀테크(FinTech)'라는 신조어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알고리즘에 의한 거래'는 오래된 주제입니다.

( 출처 : 금융업계의 AI 머신러닝 활용처 10선 - CIO Kora )



외환 거래, 선물 거래 등에서 자리를 잡은 알고리즘 거래는

현재 전 세계 금융 거래의 약 70%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출처 : The Growth and Future of Algorithm Trading )



'월스트리트의 철학자'라 불리는 나심 탈레브는 이런 추세에 대한 경고를 합니다.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2010년 뉴욕 증시에서 있었던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 - 단기급락)'과 같은

금융 시장의 불안을 유발할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 참고 :  프로그램 매매의 함정 )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사용하는 거래자의 거래 패턴은

비슷해질 것라는 예상이 됩니다.


'수익은 남들과 다르게 행동할 때 얻어진다'는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조언을 생각해 봅니다.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 이미지 출처 : YES24 )


코스톨라니는 

어느날 모임에서 당시 유명한 금융 전문가가 

정유회사 주식을 매수한다는 정보를 얻었습니다.


들뜬 마음으로

금융전문가를 따라서 많은 돈을 투자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을 잃었습니다.


그리고, 그 교훈을 가슴깊이 새겨두었습니다.


"(이유없이) 남이 더 많이 안다고 생각하지 마라"


인공지능에게도 적용되는 조언이라 생각합니다.



2018년은 어려움을 겪던 한국 조선업에 활력이 돌아온 해였습니다.

축적된 기술로 늘어나는 LNG선 수주에 성공했습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회복된 실적에 따라서 조선사의 주가도 작년 말에는

최저가 대비 20~40% 상승했습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조선업에 대한 2019년 전망도 '맑음'이었습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산업에 대한 밝은 전망에 따라

투자 기회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조선업의 회복은 뉴스에서도 많이 얘기가 되었고,

조선사의 주가도 20~40% 상승한 상태이므로,

이미 널리 퍼진 상태라 생각했습니다.


선점을 하기에는 늦었다는 생각에 조선의 후방 산업을 확인했습니다.


LNG선 보냉자재를 생산하는 

한국카본은 

LNG선 호황에 수혜를 받을 것이라 여겨졌습니다.

( 출처 : 한국경제 )


2019년 초 한국카본에 대한 매수를 결정했습니다.


매수 후, 실적 턴어라우드에 대한 전망이 이어졌습니다.

2021년까지 실적증가를 예상하기도 합니다.

( 출처 : 이투데이 )


( 출처 : 이데일리 )


해당 종목을 

올해(2019년)초 3번의 분할매수를 하였고,

현재 약 22% (미확정) 수익 구간에 있습니다.


조선업의 주가 변화와 비교를 해보면,

현대미포조선은 년초 6만원 근처에서 4월초 현재 6만원 근처이고,

현대 중공업은 년초 13만원 대에서 현재 12만원 대로 하락했습니다.

삼성중공업은 7500원대에서 8600원대로 약 15% 상승을 보였습니다.

 

전방산업의 호황 소식

후방산업 투자를 결정하는 선행지표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나는 두려워한다. 남들의 말을'


독일 시인 릴케는 단정적인 얘기과 생각을 경계했습니다.

( 참고 : 번역마다 시의 제목은 다릅니다. )


(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유럽의 버핏'으로 불리는 '앙드레 코스톨라니'는 

'두려움 대신 남들과 다르게 생각하라' 충고했습니다.

( 참고 : 남들과 반대로 투자하라 - dongA.com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 출처 : YES24 )



'코스톨라니의 달걀'은 매수와 매도의 시점에 대한 생각을 잘 보여줍니다.


( 출처 : 코스톨라니의 달걀 -  티스토리 )


달걀의 저점 근처에서 매수 하고, 고점 근처에서 매도를 하라고 합니다.


그림으로 보면 너무나 쉬운 일 같습니다.

그런데, 현실로 돌아오면 어려움이 많습니다.


"현재 시장은 고점인가요? 저점인가요?"


결코 쉽지 않은 질문입니다.


코스콜라니의 얘기를 짚어보면서 답을 찾아봅니다.


코스톨라니는 시장 참여자를 크게 두 분류로 나누었습니다.


'소신파'와 '부화뇌동파'.

소신파는 자신의 판단으로 투자하는 사람을 얘기하고

부화뇌동파는 다른 사람을 따라서 투자하는 사람을 얘기합니다.


'고점'은 부화뇌동파가 시장에 몰려 가격이 상승하는 시점이고,

'저점'은 부화뇌동파의 투매로 가격이 하락합니다.


즉, 고점과 저점에서는 남들을 따라 사거나 파는 사람이 몰려서 '거래량'이 증가합니다.

그리고, 고점에서는 희망적 전망이, 저점에서는 부정적 전망이 시장을 지배합니다.


코스톨라니는 이를 한마디로 정리했습니다.

"시장에 바보보다 주식이 많으면 사야할 때이고, 주식보다 바보가 많으면 팔아야 할 때이다"



거래의 신 '혼마 무네히사'도 투자에서 다름을 강조했습니다.

"사람들이 서쪽으로 달리면 나는 동쪽으로 달려야 이운이 따른다"



 다르다는 것에는  릴케의 얘기처럼 두려움이 따릅니다.

차별에 대한 원시적 두려움이 따릅니다.

( 참고 : 차별 심리는 원시적 두려움이다 - 한국일보 )



투자의 성공은 

자신의 판단으로 행동하며 

대중에 휩쓸리지 않을 때 얻어진다는 조언으로

두려움을 이겨냅니다.


['남과 다름' -자유를 향한 비상구] 라는 이야기에 공감합니다.


( 출처 : HSAdzine )



1700년대 일본은 상업이 발달하여 미곡 시장에서 세계 최초로 '선물거래'까지 이루어졌습니다.

( 참고 : 최초의 선물 시장, 에도 막부와 쌀 )


'선물거래'는 미래의 특정 시점에 특정 상품을 미리 약속한 가격에 매매하기로 하는 거래를 말합니다.

 

일본 쌀 거래소는 지금의 주식 거래소와 비슷한 면이 많았습니다.

한국 주식 거래소의 유래를 1896년 일본 상인들이 인천에 세운 '인천미두취인소'에서 찾기도 합니다.


( 출처 : 국민일보 )



지금도 그렇듯이 쌀 거래소에서 실패한 사람도, 성공을 거둔 사람도 있었습니다.

'혼마 무네히사'는 그중에서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사람이었습니다.


<거래의 신 : 혼마 무네히사>는 무네히사의 삶과 투자 철학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무네히사의 전기 형식으로 쓰여진 책은 혼마 가문에 대한 이야기에 많은 부분을 할애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다소 지루한 감이 있었습니다~~~ ^^; 


그럼에도 투자에 대한 실패를 겪으면서 투자 철학을 완성해가는 대목은 흥미롭습니다.


원숙해진 투자론을 손자병법, 논어 등의 지혜를 빌어 설명하는 부분은 

현대의 투자자에게도 큰 일깨움을 줍니다


대국적 시각을 보는 '전략'을 갖추고 투자 기술이라는 '전술'을  배우라는 조언은 

기업에 대한 시각을 주는 기본적 분석을 바탕으로 하고

매매 기술인 기술적 분석을 익히라는 권고입니다.


다비스의 '박스이론'을 연상시킵니다.

( 참고 : 어메이징 박스이론 )



(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투자자금과 연을 날리는 실은 끝까지 다 쓰지 말라'는 말로 

매매를 한 번에 하지 말고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하도록 권고합니다



투자가로서의 성공 비결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은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마음 속 맹수, 감정을 다스려라"


몇 해전에 읽었던 <리스크 판단력>을 되새깁니다.


( 이미지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



투자에서 감정을 다스리고자 노력했던 무네히사는

과거 거래 내역을 바탕으로 과학적(?) 투자를 하고자 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고안해 낸 '캔들 차트'는 현대 주식 시장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 캔들 차트 이미지 출처 : chosun.com )



무네히사는 투자자가 갖추어야 할 자세로 '배움과 익힘(생각)'을 말합니다.


공자의 <논어>를 인용하며 얘기합니다.


"배우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둡고, 생각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 출처 : 네이버 블로그 )


투자에 대한 생각을 되새겨 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퍼져나가는 물결은 천천히 높이가 낮아집니다.


( 출처 : pxhere.com )


급등했던 주가도 물결과 비슷할까요?

큰 물결 뒤에 잔물결이 뒤따를까요?

잔물결을 이용한 투자는 가능할까요?


지난 포스팅에서 얘기했던 더존비즈온리노공업의 잔물결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잔물결 투자를 진행하면서 몇 가지 원칙을 정했습니다.


1. 현금 비중을 특정 비율 이상 유지한다

2. 충분한 가격 하락을 기다린다 ( 최고가 대비 20% 이상 )

3. 목표 수익률은 10% 정도로 낮춘다

4.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지킨다


더존비즈온은 4년간의 투자를 통해 작년(2018년)초에 300% 이상의 수익으로 마무리했던 종목입니다.

2018년 7월에 66,800원을 최고점으로 몇번의 등락이 있었습니다.


올해(2019년) 초 현금비중이 10%를 넘고, 충분히 하락을 한 시점에서 2번에 나누어 매수했습니다.

1차 매수는 42,500원

2차 매수는 40,450원

그리고, 얼마전 10% 수익에 2번의 자동감시 매매에 의해 매도가 완료되었습니다.



약 1.5개월 기간 투자에 수익률은 10.2%였습니다.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마무리된 투자였습니다.




리노공업은 2017년 2월에서 2018년 2월까지의 1년 투자기간에 51.6%의 수익을 거둔 종목입니다.


상승 후에 6만원 대에서 등락하던 주가는 2018년 11월 예매를 해둔 55,000원 대에 매수되었습니다.

47,000원까지 분할매수를 통해 평균단가를 낮추었습니다.

중간에 급등에서 일부를 56,000원에 매도하고, 다시 52,800원에 추가 매수하였습니다.

그리고, 예약해둔 분할 매도에 의해 마무리 되었습니다.


3월 11일 평균 매도 가격 -  56,642원

3월 12일 평균 매도 가격 - 58,000원

3월 13일 평균 매도 가격 - 58,293원 



약 5개월의 투자 기간에 11.9%의 수익률입니다.


매수 후 짧은 기간에 목표가에 도달했던 더존비즈온에 비해 

추가하락에 의한 추가매수와 기다림 등 변화가 제법 있었던 투자였습니다.



롱펠로우의 시처럼 항상 '물결은 일고, 물결은 잦아듭니다.'


( 이미지 출처 : 우드플래닛 )



+ Recent posts